💡 시나리오 Green - 팀장 Meta - 팀원 👉 팀장 1. repository 생성 2. read me 수정 + 환경설정.txt 생성 3. git checkout -b dev 생성 4. git push --all : 최초로 올릴 경우 모든 branch 다 올라감 5. Setting - Collaborations - Manage access =>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게 추가 6. branch rule 설정 Setting -> Branches => branch 별로 rule 만들어서 관리 => 팀장 권한 없이 push 못함 7. Setting -> Email notifications 이메일 추가 : 추가사항 있을 경우 이메일 8. Pull requests 확인 8.1 Commits -> Review ..
💡 개발 혼자 할 경우 👉 실제 서비스 MAIN : 실제 배포할 때 DEV : 개발할 때 TOPIC 시나리오 1. 환경설정 2. 회원가입 3. 로그인 4. 글쓰기 👉 개발 혼자 할 경우 시나리오 1. git checkout -b dev 생성 => 개발할 때 쓰는 branch 2. git checkout -b ~ => 각 기능별 개발할 때 사용하는 branch 3. 기능 개발 완료 (1) git checkout dev (2) git merge --no-ff ~ => dev에다가 merge 해주는데 merge 해준 로그까지 남김. 4. 기능별로 branch 만들어주고 작업 다 하면 branch 5. 기능을 다 못만든 상태로 일단 commit 했을 경우 (1) 완성 후 commit 해줌 (2) git reba..
git push origin topic : github에 topic이라는 branch가 없으면 생성해주고 push해준다. 💡 git hub에 branch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해당 branch가 없는 로컬에서 다운로드 방법! 👉 방법1 1. git fetch origin => 전체 동기화시켜줌 => 모든 브랜치 다운로드 2. git checkout -b topic origin/topic => origin 안에 topic을 topic이라는 이름으로 가져온다. => 브랜치 생성 및 머지 👉 방법2 1. git checkout -b topic (브랜치 생성) 2. git pull origin topic (topic 브랜치 다운로드 및 머지) ● master가 아닌 다른 branch에서 작업을 완료하고 mas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