💡 프록시(Proxy)
: '대리', '대신' 이라는 뜻을 가지며, 프로토콜에 있어서는 대리 응답 등에서 사용하는 개념이다.
💡 프록시서버
: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존재하며,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Proxy라고 하며, 그 중계 기능을 하는 주체를 Proxy Server라고 한다.
💛 프록시 서버 종류
- 포워드 프록시
: Client 와 Server 사이에 위치하여 요청을 중계하며, 요청과 응답은 Proxy Server를 거친다. 클라이언트를 감추는 효과가 있다.
💛 리버스 프록시
: 포워드 프록시와 마찬가지로 요청과 응답이 Proxy Server로 이동하는데, 포워드 프록시와 다르게 Server들이 주로 내부망으로 구성되며 프록시에게만 연결을 허용한다. 즉 서비스를 위한 보안 채널을 구축한다. 이런 경우 Client가 Server에 직접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Reverse Proxy에서 요청을 적극적으로 중계하는 Load Balancing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.
💛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이유
-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.
: 프록시 서버 없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 시 본인의 IP 주소가 노출되는데, 프록시 서버를 사용 시 서버측에서 나의 IP가 아닌 프록시 서버의 IP를 보게 된다. 즉, IP를 숨길 수 있다. - 캐시를 사용해서 속도가 향상된다.
: 프록시 서버는 웹 페이지를 가져올 때 자신의 DB에 최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, 이것을 Cache라 한다. 이렇게 될 시, 같은 요청이 들어오면 Cache 자원을 반환하여 서비스의 속도를 높이고 대역폭도 줄일 수 있다. - 로그를 기록, 관리할 수 있다.
: 서버 측에선 클라이어느의 기록대신 프록시 서버의 기록이 있지만, 프록시 서버에겐 클라이언트의 기록이 남아있다. 이 기록들을 보면 어떤 IP에서 어떤 IP로 얼마나 접속해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, 특정 IP가 방문할 수 있는 웹 사이트도 제한할 수 있어서 회사에서 많이 사용한다. - 접속을 우회할 수 있다.
: 특정 사이트에서 IP를 검사해 한국에서의 접속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는데, 이런 경우 프록시 서버를 사용해 접속 시 다른나라에서 접속한 것처럼 우회할 수 있다.
'IT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WEB] 웹 서버와 WAS(Web Application Server) 차이 (0) | 2023.06.12 |
---|---|
[보안] SSL 인증서 (0) | 2023.06.12 |
[WEB기초]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웹 기본 지식 - 다음으로 (0) | 2023.05.25 |
[WEB기초]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웹 기본 지식 - 캐시 무효화 (0) | 2023.05.25 |
[WEB기초]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웹 기본 지식 - 프록시 캐시 (0) | 2023.05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