💡 JUnit 이란?
: 자바를 위한 단위 테스트 라이브러리(오픈소스)이다.
: 자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쉽게 해주는 테스트용 프레임워크
👉JUnit의 assert 메소드들
- assetEquals(A,B) : 객체 A와 B가 같은 값을 가지는지 확인한다.
- assertEquals(A,B,C) : 객체 A와 B가 같은 값을 가지는지 확인한다. C는 오차범위.
- assertArrayEquals(A,B) : 배열 A와 B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.
- assertSame(A,B) : 객체 A와 B가 같은 객체인지 확인한다.
- assertTrue(A) : 조건 A가 참인지 확인한다.
- assertNull(A) : 객체 A가 Null인지 확인한다.
- assertNotNull(A) : 객체 A가 Null인지 아닌지 확인한다.
👉JUnit의 어노테이션
- @Test : 메소드 위에 해당 어노테이션을 선언해, 테스트 대상 메소드임을 지정할 수 있다.
- @Ignore : 해당 어노테이션이 선언된 테스트 메소드를 실행하지 않도록 지정한다.
- @BeforeEach : 모든 @Test 메소드가 실행되기 전에 실행되는 메소드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이다.
- @AfterEach : 모든 @Test 메소드의 실행이 끝난 뒤에 실행되는 메소드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이다.
- @BeforeAll : 해당 테스트 클래스가 실행될 때 딱 한 번만 수행되는 테스트 메소드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이다.
- @AfterAll : 해당 테스트 클래스가 실행이 끝난 뒤에 딱 한 번만 수행되는 테스트 메소드를 지정하는 어노테이션이다.
💡 AssertJ
: JAVA 테스트에서 유창하고 풍부한 assertions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 기반 라이브러리
: 자바 JUnit의 테스트코드에 사용되어, 테스트코드의 가독성과 편의성을 높여 주는 라이브러리.
👉AssertJ의 assert 메소드
: AssertJ의 모든 테스트 코드는 assertThat()으로 시작함.
assertThat(테스트타켓, 메소드1, 메소드2, 메소드3);
Assertions.assertThat(order.getDiscountPrice()).isEqualTo(1000);
👉AssertJ의 메서드들
- isEqualTo(Object o) : 실제 값이 주어진 값과 같은지 확인
- isNotEqualTo(Object o) : 실제 값이 주어진 값과 같지 않은지 확인
- isInstanceOf(Class<?>type) : 실제 값이 주어진 유형의 인스턴스인지 확인
- isNotInstanceOf(Class<?>type) : 반대
- isExactlySameInstanceOf(Class<?>type) : 실제 값이 정확히 주어진 유형의 인스턴스인지 확인
- asList() : 실제 값이 List의 인스턴스인지 확인하고 list Assertion을 반환
- asString() : toString()으로 실제 값에 대한 문자열을 반환
- hasToString(String, str) : 실제 actual..toString()값이 주어진 String과 같은지 확인
- isIn(Iterable<?>v), isIn(Object ...v) : 주어진 iterable 또는 값 배열에 실제 값이 있는지 확인
- isNull() : 실제 값이 null인지 확인.
'IT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Static import (0) | 2023.05.08 |
---|---|
[JAVA]ConcurrentHashMap이란? (0) | 2023.05.08 |
객체지향 5대 원칙(SOLID) - DIP (의존성 역전 원칙) (0) | 2023.05.08 |
객체지향 5대 원칙(SOLID) - OCP (개방 폐쇄 원칙) (0) | 2023.05.04 |
[자바의 정석] CH 16. 네트워킹 (0) | 2023.04.25 |